JAVA
2011. 5. 25. 21:19
기계보다 컴퓨터가 좋은 이유중에 하나는 바로 조건에 따라 다른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.
이러한 조건에 따라 주어진 일을 하는 명령문을 조건문(conditional statement)라고 하며
자바에서는 키워드인 if 를 이용하여 조건문을 만들수 있다.
위를 보면 num에 30을 대입하고 바로 결과값을 찍지 않고 if (num >10)를 써주었다.
의미는 'num이 0보다 크다면 아래를 수행하라' 이다. 조건에 맞지않으면 그냥 빠져나온다.
추가로 명령문 안에 포함된 System.out.println("계산 결과가 10보다 큽니다"); 이라는
명령문은 부명령문(substatement) 라고 부른다.
주어진 처리를 반복해서 열번을 해야한다고 조건문을 열개를 주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
이때는 주어진 일을 반복하는 반복문(iterative statement)을 써야 한다.
일단 num =0; 이기 때문에 num에는 0이들어가 있고 while문에 들어간다.
while (num < 5) 조건을 보면 5 미만 까지의 의미고 그건 0,1,2,3,4 의 값만이 while문의
조건을 충족 시키는것이 된다. num 이 처음 들어가면 0 이기 때문에 조건을 만족하고
while안으로 들어간다 그러면서 System.out.println("Hello"); 으로인해 Hello 가 한번 찍히고
num = num + 1; 을 지나기 때문에 num에 +1을 한 정수가 num 주머니로 들어간다,
즉 0이었던 num주머니가 1로 바뀐다. while문은 조건을 만족한다면 계속 돌기 때문에
1,2,3,4 까지 돌며 Hello를 다섯번 찍어낸다 그러고 num이 5가 되면 조건에 만족하지 않기에
밖으로 빠져나온다. 맨날 헷갈리던게 num = num + 1 이었다. num이 0일때를 보면
0 = 0+1 과 같다. 그걸 해석하면 뒤에 0+1이 앞에 0에 대입이 되는건데 자꾸 수학의 이퀄이랑
착각을 해서 머리아팠던 기억이 난다..
출판사 : 한빛미디어 , 저자 : 김윤명 님의 뇌를 자극하는 Java프로그래밍에서 공부한 내용입니다.
이러한 조건에 따라 주어진 일을 하는 명령문을 조건문(conditional statement)라고 하며
자바에서는 키워드인 if 를 이용하여 조건문을 만들수 있다.
public class iftest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s[]){
int num;
num = 10 + 20;
if (num >10)
System.out.println("계산 결과가 10보다 큽니다");
}
}
위를 보면 num에 30을 대입하고 바로 결과값을 찍지 않고 if (num >10)를 써주었다.
의미는 'num이 0보다 크다면 아래를 수행하라' 이다. 조건에 맞지않으면 그냥 빠져나온다.
추가로 명령문 안에 포함된 System.out.println("계산 결과가 10보다 큽니다"); 이라는
명령문은 부명령문(substatement) 라고 부른다.
주어진 처리를 반복해서 열번을 해야한다고 조건문을 열개를 주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
이때는 주어진 일을 반복하는 반복문(iterative statement)을 써야 한다.
public class whiletest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 args[]){
int num;
num = 0;
while (num < 5){
System.out.println("Hello");
num = num + 1;
}
}
}
일단 num =0; 이기 때문에 num에는 0이들어가 있고 while문에 들어간다.
while (num < 5) 조건을 보면 5 미만 까지의 의미고 그건 0,1,2,3,4 의 값만이 while문의
조건을 충족 시키는것이 된다. num 이 처음 들어가면 0 이기 때문에 조건을 만족하고
while안으로 들어간다 그러면서 System.out.println("Hello"); 으로인해 Hello 가 한번 찍히고
num = num + 1; 을 지나기 때문에 num에 +1을 한 정수가 num 주머니로 들어간다,
즉 0이었던 num주머니가 1로 바뀐다. while문은 조건을 만족한다면 계속 돌기 때문에
1,2,3,4 까지 돌며 Hello를 다섯번 찍어낸다 그러고 num이 5가 되면 조건에 만족하지 않기에
밖으로 빠져나온다. 맨날 헷갈리던게 num = num + 1 이었다. num이 0일때를 보면
0 = 0+1 과 같다. 그걸 해석하면 뒤에 0+1이 앞에 0에 대입이 되는건데 자꾸 수학의 이퀄이랑
착각을 해서 머리아팠던 기억이 난다..
출판사 : 한빛미디어 , 저자 : 김윤명 님의 뇌를 자극하는 Java프로그래밍에서 공부한 내용입니다.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] 7. 여러가지 대입문 (1) | 2011.05.26 |
---|---|
JAVA] 6. 로컬 변수의 선언과 이용 (0) | 2011.05.25 |
JAVA] 4. 변수의 선언문과 대입문 (0) | 2011.05.25 |
JAVA] 3. 자바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종류와 여러가지 기호 (0) | 2011.05.25 |
JAVA] 2. 자바 프로그램 작동 원리 (0) | 2011.05.25 |